본문 바로가기
IT리뷰

프로덕트 매니지먼트(2023.06.08)

by jb213 2023. 8. 1.

갈수록 어떤 서비스나 시스템, 혹은 그보다 더 큰 분야의 흐름을 모니터링 해야할 필요가 있다. 그리고 가끔 심심할 때 혹은,, 회사일이 지겨울때..(ㅎ) 토이프로젝트를 참여하는데 꼭 조장이 되거나 암튼 비공식 PM이 된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. 체념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리소스를 잘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짜주고 진행상황을 확인하는데 어느 순간 너무 무작정 할 때가 있더라. 확실히 책을 읽으니 실제 어떻게 PM 업무를 해야 할 지 감이 오는 부분이 있었다.

 

이게 아무리 IT라 하더라도 비즈니스와 돈 계산은 떼려야뗄 수 없는 이야기다 보니 읽으면서 공감가는 부분도 많았다. 엔지니어링을 하는 주니어들 중엔 간혹 난 돈과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. 그렇지 않다는 걸 얘기하고 싶다..^^

프로덕트로 잘 말아서 판매하는 것을 아주 잘해 성공한 케이스가 MS와 애플 아니었던가? MS는 뭐랄까 AI 부분도 그렇게 프로덕트 장인이라는 생각이 든다. 최근에 나온 Power 어쩌고도 완전히 다른 '프로덕트'의 느낌이 강하달까. 그렇다고 잘 만들었단 건 아니고. 그냥 프로덕트의 외형을 꽤 잘 구현하는 회사라고 볼 수 있다. 조금 다른 의미지만 MS는 하드웨어나 OS도 꽤 관련이 많기 때문에 타 경쟁사(A, G)랑은 조금 결이 다른 것 같다. 차라리 비교하려면 G랑 A인데 G는.. 뭔가 API 제공자 이상도 이하도 아닌 느낌을 줄 때가 있다. 데이터란 데이터는 다 있고 요리재료는 풍부한 상태지만, 기대했던 것에 비해 프로덕트로 말아올리는 능력이 시원찮달까. 아까운 인재느낌ㅎ(제가 뭘 알겠습니까만)

 

책 내용 중 인상깊은 부분을 좀 메모해봤다.1. 프로젝트 매니저의 주요 역할: 위험 관리, 자원 관리, 범위 관리

 

2. 프로그램 매니저 : 특정 기능을 소유한 프로덕트 오너로 사용. 신기술이나 기능을 소개할 때는 프로그램 매니저가 함.예) '복사와 붙여넣기'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매니저

 

3. 3가지 PM 정리- 프로덕트 매니저 : 프로덕트의 '무엇'과 '왜'에 초점- 프로젝트 매니저 : 프로덕트의 '언제'에 초점- 프로그램 매니저 : 프로덕트를 '어떻게' 책임질까에 초점

 

결국 어떻게를 고민할 수 있다는 것에서 승부가 나는 게 아닐까.

 

4. 프로덕트 방향 결정- 고객에게 프로덕트 가치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- 경쟁 프로덕트와는 어떤 차별화가 있는가- 타깃층은 누구이며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확장되는가

 

-> 이 내용을 읽으면서 실무와 참 밀접한 내용이라고 생각했다. 겉으로 보면 뻔하지만 막상 머릿속에서 저걸 짜내자면 시간이 부족하다. 

 

5.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구체화 과정

1단계 : 미션, 왜에 답한다. 왜 존재해야 하늕.

2단계 : 비전, 어떤 혜택을 볼지 기술한다. 프로덕트 로드맵 작성

3단계 : 전략, PM이 가장 중점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. 시장을 분석, 테마 기능별 우선 순위 정함, 프로덕트 성공에 관한 실제적으로 구체적 지표를 작성. 여기서 추가하고 싶은 게 디자인적으로 설득력 있느냐도 생각해보면 어떨까 싶다. 경험상 어떤 색으로 프로덕트 테마를 만드느냐도 굉장히... 중요했다.

4단계 : 전술, 실제 프로덕트를 만드는 과정. 백로그 아이템을 만들고 기능별 릴리스 플래닝을 세우고 진행

 

6. 프로덕트 전략 중 엘리베이터 피치

예) 아마존

For [growing companies]

who [need to control infrastructure costs as they grow], 

[AWS] is a [cloud hosting service] that [is highly flexible].

Unlike [Google Cloud or Microsoft Azure], the product [complete portfolio of Cloud services].

 

 

한빛미디어 <나는 리뷰어다>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