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3 수준에서 외울 것들
1. 패킷의 생성과 전달
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서 택배기사 전달(gateway)
현관은 집 host 와 만나는 접점을 타고 패킷이 나감.
택배 -> gateway ->routing함(모앗다가 어쨌다가) -> IPv4의 목적지 주소를 보고 영희네 찾아옴 -이름(port 번호)을 보고 호스트 내부에서 process
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/IP 송수신구조
Network 장애
1. Loss 유실
2. Re-Transmission : Ack Duplicated
3. Out of order : 1-> 2-> 4 거의 네트워크 문제
4. Zero Window : 여유공간 크기를 window size 이게 zero가 되었다는 것. 여기가 full이 난 것임. 네트워크의 송수신 속도가 프로세스 처리속도보다 빨라서 full참. 수신할 방법이 없음. Ack할려고 하는데 여유공간이 없다. 여긴 Endpoint에서 Application 단에서 문제를 찾아야 함.
IP 헤더 형식
Header - Payload
Broadcast
전체에 다 보낸다.
192.168.0.255
브로드캐스트를 자주 하면 효율이 떨어짐
브로드캐스트 도달 범위를 일정 수준에서 조절해야 함.
네트워크 장비 전체에 부담을 줌.
네트웤에서 쓸 수 없는 주소
192.168.0.(0, 255)
256가지 중 0과 255는 못 써서 -2 를 하면 실제 254개밖에 못 씀.
사실상 gateway도 빼야 됨. 순수 PC가 쓸 수 있는 주소가 250개 가량 정도.
Host 자신을 가리키는 IP주소
IP주소 IP주소
PC -------Router --- 인터넷 ----Router ----서버
내가 나에게 접근할 때가 있음
Host가 나에게 접근할 때.
접속, 연결 = 주체는 process. 인터넷을 사용하는 건 어떤 프로세스임. 프로세스는 여러 개임.
내 프로세스간 연결.
127.0.0.1 이걸 씀 = loopback Address
나 자신을 가리킨다.
TTL과 단편화
인터넷은 라우터의 집합체인 논리 네트워크
텔로미어 같은 역할. Time to Live
인터넷을 헤매고 돌아다니는 패킷이 끝내 Destination을 못찾으면 이 패킷을 폐기시켜야 함.
그걸 막는 게 TTL임.
128, 255등의 값에서 출발. Router를 지날 때(단위 Hop) 1만큼 감소. 126으로 낮춰서 보내.
목적지를 찾는 데 실패. 해당 패킷에 갖다버림. 폐기시켰다는 걸 알려주는 라우터도 있고 아닌 라우터도 있음.
단편화는 MTU크기 차이로 발생한다. 보통은 1500 바이트. 보내는 쪽에서 받는 쪽이 1400이면 쪼개서 보내자= 단편화.
인터넷 설정 자동화를 위한 DHCP
[L3 설정]
ISP : IP 주소들
Subnet mask
Gateway IP주소
---------------------------
DNS 주소 : www.naver.com -> IP주소가 뭔지 알려줌
아무도 이걸 직접 주로 안해.
보통 자동설정을 이용함.
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-IP주소 설정, GW, DNS, Subnet etc.. -> 자동으로.
-How?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면 서버에서 자동으로 IP주소를 알려줌.
-Dynamic : runtime. 동적으로. 전원켜져. 작동중에 켜져.
192.168.0.1 Network(192.168.0) Host(1)
255.255.255.0
ARP
Address Resolution Protocol
IP주소로 MAC주소를 알아내려 할 때 활용
Gateway의 MAC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ARP Request
naver(IP Address)로 접속할 때 목적지 Mac Address는 Gateway가 찍힌다.
일단 컴퓨터 전원이 켜졌다. DHCP 거쳐서 Gateway MAc Address는 스스로 알아내야 하는데 ARP로 알아냄.
명령 프롬프트에서
arp -a : 캐싱된 내용을 화면에 출력
*IP주소 : 행정적 주소(변함)
*MAC주소 : 물리적 주소(고유함)
Ping 과 RTT
Ping유틸리티는 특정 호스트에 대한 Round Trip Time (RTT) 측정할 목적으로 사용
ICMP 프로토콜을 이용
DoS 공격용으로 악용
'IT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-리뷰 1탄 (2023.06.26) (1) | 2023.08.27 |
---|---|
프로덕트 매니지먼트(2023.06.08) (0) | 2023.08.01 |
파이썬 웹 프로그래밍 기초편 (0) | 2023.03.26 |
이것이 Windows Server다(2023.02.13) (0) | 2023.02.26 |
이것이 자료구조+알고리즘이다 with C언어 (2) | 2022.12.30 |
댓글